티스토리 뷰

노란색과 파란 배경에 손위에 빨간 자동차를 올려둔 사진이다.
자동차 리콜 대상 조회  무상점검수리 확인

 

내 자동차가 리콜 대상인지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 둔다면 안전에 큰 도움이 됩니다. 동시에 내 차에 해당하는 무상 점검 수리 목록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자동차 등록번호나 차대번호만 있다면 로그인이나 인증 없이 바로 소유하고 있으신 자동차의 리콜 대상 여부와 조치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리콜진행현황

2. 자동차 리콜 대상 및 무상수리 점검 조회 방법
▷ 자동차리콜센터 바로가기

3. 리콜에 대한 궁금증
① 리콜 제외 기준
② 새 차 교환이나 환불 문의
▷ 신차 교환·환불 e만족 바로가기
③ 자동차 결한 신고 방법

4. 추천 콘텐츠 및 마무리
▷ 자동차 채권 환급금 신청하기

 

 

 

리콜 대상 조회 사이트에 들어가 보면 2023년 3월 16일 자로 현대의 코나와 아반떼, BMW iX3, 벤츠 GLB 250 등의 결함과 시정조치(리콜) 내용이 공지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아래의 리콜 진행 현황을 보시면 생각보다 리콜의 경우가 많으며 일부는 수리를 받지 못하도 넘어가는 경우도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초록색과 분홍색 막대그르패로 리콜 진행 현황이 표현되어있다.
자동차 리콜진행 현황 그래프

 

 

 

자동차 리콜 대상 및 무상수리 점검 조회 방법

 

1. 검색창에 '자동차 리콜센터'를 검색합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자동차 리콜센터 바로가기

 

자동차리콜센터

자동차리콜제도 소개 제작결함정보의 수집·분석은 제작결함조사를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동차리콜센터에 접수되는 결함정보 이외에도 결함신고 전용전화(

www.car.go.kr

 

2. 자동차 등록 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하고 검색을 누릅니다.

 

리콜현황과 more 표시된 조회화면
리콜현황 조회 화면

· 리콜현황

 

이때 '검색된 자료가 없습니다'라고 나오더라고 빨간색으로 표시한 'more'를 누르시면 자세한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명을 입력하시면 과거의 리콜내용도 조회 가능합니다. 또한 다른 차량의 리콜 내용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현재 총 3303건의 리콜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2023년 3월에 전체 리콜현황은 18건으로 조회됩니다.

 

가족 중에 아반떼를 타고 있어서 조회해 보니 22년 12월 19일부터 23년 2월 11일에 생산된 총 181대의 아반떼 N에 대한 전동식 조향장치 리콜이 고지되어 있습니다. 전동식 조향장치 제어기의 소프트웨어가 잘못 설정이 되어있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차로이탈방지보조나 차로유지보조 기능을 운전자가 ON으로 설정해 두더라도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니 확인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시정 방법은 전동식 조향장치 제어기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면 된다고 합니다. 시정기간은 2023년 3월 23일부터이며,  추가 문의를 하기 위한 연락처는 080-600-6000으로 전화를 하면 됩니다.

 

 

· 무상점검수리

 

무상점검수리현황 서비스는 자동차리콜센터가 차량의 소유자에게 통지한 내용만 조회가 가능합니다. 또한 2021년 1월 1일 이후 적용된 경우부터 조회가 됩니다.

 

검색된 자료가 없더라고 'more'를 클릭하면 무상점검수리에 대한 전체 내용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가지고 계신 차량의 이름을 검색하면 같은 기종의 무상점검수리에 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도 아반떼를 검색해 보니 2023년 1월 17일 토지 한 내용이 있습니다. 생산기간 2022년 11월 16일에서 12월 5일까지 총 248대의 아반떼(CN7) LPI에 대하여 통합바디제어장치(IBU) 관련 무상수리를 합니다. 이는 시동을 걸 때 잘 작동하지 않을 수 도 있는 가능성이 있어서 무상수리를 결정했다고 합니다. 통합바디제어장치(IBU) 업그레이드 조치로 해결이 되며 역시 추가 문의를 할 수 있는 현대 자동차 연락처가 함께 고지되어 있습니다.

 

 

 

리콜에 대한 궁금증

 

 

1. 자동차 안전과 관련이 없는 사항은 리콜에서 제외됩니다.

편의장치(라디오, 에어컨)나 주기적인 교환(축전지, 브레이크패드 등)이 필요하거나 차제의 단순한 녹과 소음이나 진동을 해당되지 않습니다.

 

2. 새로 구입한 차량의 교환이나 환불 문의도 아래를 통해 문의해 볼 수 있습니다.

신차 교환·환불 e만족 바로가기

 

자동차리콜센터

 

adr.katri.or.kr

 

3. 자동차 결함 신고하기

 

자동차 결함신고센터에 접속해서 본인의 차량정보를 입력하고 자동차 결함이라고 느끼는 부분을 입력합니다. 또는 080-357-2500으로 전화를 해서 신고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양하게 수집된 신고 자료를 바탕으로 동일한 차종에서 동일한 현상이 여러 건 발생하는 경우 조사를 시행합니다. 따라서 상단 시간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추천 콘텐츠 및 마무리 

 

 

 

자동차채권 환급금 조회 신청 하기

자동차를 구입 시 의무적으로 지역개발채권을 구입하게 됩니다. 이를 자동차 채권이라 하며 5년이 지나면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채권 미환급금이 2300억 원 이상이라고 합니다. 신차인

1.ewihn.com

 

 

간단하게 모바일로 바로 조회할 수 있는 리콜과 무상수리내역에 대한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고지된다고 하지만 너무 많이 오는 연락에서 나도 모르게 스팸처리하고 관리하지 않는다면 무심결에 넘어가 버릴 수 있습니다. 모쪼록 차량 관리를 잘하셔서 안전한 주행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