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퇴직연금 제도는 종류가 3가지가 있습니다. 확정급여형(DB형), 확정기여형(DC형), 개인형(IRP)입니다. 보기만 해도 복잡해 보이지만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서 쉽게 안내해 드릴 테니 읽어보시고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퇴직연금 제도와 종류
· 확정급여형 (DB형)
· 확정기여형 (DC형)
· 개인형 퇴직연금 (IRP)
2. 추천 콘텐츠 및 마무리
▷ 퇴직금 계산기 바로가기
퇴직연금 제도의 종류
과거에 퇴직금은 직장에서 관리했습니다. 그런데 갑작스러운 폐업이나 부도로 그동안 모아둔 퇴직금이 날아가 버리는 경우가 생깁니다. 따라서 퇴직금을 안전하게 모으고 받을 수 있도록 만든 안전장치가 퇴직연금 제도입니다. 퇴직금은 직장에서 관리하는 게 아니라 외부의 금융기관에서 관리하게 됩니다.
물론 장기간에 규칙적으로 또는 목돈을 맡기는 것이므로 그에 따른 이자(금리 인상률이나 투자수익)를 추가로 적립해 줍니다.
1. 확정급여형(DB)
퇴직 전 3개월 평균 임금을 근속연수만큼 곱해서 주는 형식으로 많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퇴직금입니다.
퇴직금으로 얼마를 받을지 급여처럼 이미 정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확정급여형이라고 부릅니다.
확정급여형 퇴직금 = 퇴직 전 3개월 평균 급여 X 근속연수
퇴직금이 적립되는 근속기간 동안에 적립되는 퇴직금은 직장에서 운용(투자)을 합니다.
이에 대한 수익이 나면 운용한 직장의 몫이고, 손실도 직장의 몫입니다.
우리는 정해진 금액을 확정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장점은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정해진 퇴직금을 확실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단점은 수익률(금리인상률)이 낮은 편입니다.
2. 확정기여형(DC)
직장에서는 매년 연봉의 한 달 치를 내 퇴직연금계좌로 넣어줍니다.
그러면 내가 직접 퇴직연금을 운용합니다.
퇴직금의 형성에 내가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확정기여형이라고 합니다.
주식을 사거나 채권, 금 등 여러 가지로 투자를 하면서 적립된 돈을 운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직장에서 입금하는 부담금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수익이나 손실이 생길 수 있습니다.
확정기여형 퇴직금 = 매년 연봉의 한 달 치 ± 투자수익
장점은 본인이 더 큰 투자 수익을 낼 수 있으면 그만큼 퇴직금이 늘어난다는 것과 세금 혜택이 있습니다.
단점은 손실이 난다면 그만큼 나중에 받을 퇴직금이 줄어들게 되며, 계속 관심을 가지고 관리를 해야 합니다.
3. 개인형 퇴직연금(IRP)
일하는 기간이 짧거나 이직이 잦은 경우는 근속기간이 짧습니다.
따라서 확정급여형이나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을 이용하기 어렵습니다.
이럴 때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개인형 퇴직연금(IRP)입니다.
여러 직장에서 받은 퇴직급여를 하나의 계좌로 모아서 활용할 수 있는 퇴직연금 전용 계좌입니다.
학원에서 일하는 개인사업자나 자영업자, 공무원, 군인, 사립학교 직원등이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형 퇴직연금은 두 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직장에서 지금 한 퇴직금을 넣어두는 '퇴직 IRP' 계좌가 있습니다.
두 번째, 추가로 개인이 연금을 더 넣어서 적립하는 '적립 IRP' 계좌가 있습니다. 노후에 좀 더 넉넉한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장점으로는 단기간 근무하는 근로자도 가입이 가능하며, 세금혜택과 다양한 투자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퇴직금이 궁금하시다면 퇴직금 계산기 바로가기를 이용해서 모의 계산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알아본 퇴직연금의 종류를 간단히 표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추천 콘텐츠 및 마무리
대부분의 회사에 다니는 분들은 확정급여형(DB)이 많을 것 같습니다. 예전에 프리랜서로 일했을 때는 IRP로 가입하기도 했습니다. 노휴를 위해 준비하는 4층의 연금이 있다고 합니다.
1층은 국민연금, 2층은 퇴직연금, 3층은 개인연금, 4층은 주택연금입니다.
이후 노령연금도 있지만 막상 은퇴를 하고 생활비를 계산해 보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주택연금 종류와 가입조건
주택연금은 주택을 팔지 않고 계속 살면서 주택을 담보를 주택연금을 가입해서 노후 생활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은 2가지 종류가 있으며 가입조건을 알아두신다면 도움이 될 겁니다.
1.ewihn.com
지금 당장 젊고 아직 퇴직이나 은퇴가 멀었다고 해도 일단 본인의 퇴직연금을 확인하고 염두에 두는 게 노후를 위한 일입니다. 이만 퇴직연금 제도 종류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